React Native는 망했다? 지원 중단이다? 전혀 아닙니다.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React Native가 지원 중단 되었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종종 보입니다. 혹은 지원 중단 및 망한 기술 아니냐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간혹 보여요.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실제로 리액트 네이티브는 꾸준히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아니… 아직도 React Native 지원 중단된다고 생각되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다니…
왜 React Native가 망했다고 보는걸까?
ReactNative를 출시한 Meta는 최근 제품 중 하나인 Threads 앱을 주로 네이티브(Swift, Kotlin, Jetpack Compose) 기반으로 개발했습니다. "Meta조차 React Native를 버렸다"는 이야기가 돌아서 이러한 여론이 많았던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러나 이는 절반만 맞는 이야기입니다. 먼저 Threads 앱의 핵심 화면은 네이티브로 구현된 것이 맞습니다. Emerge Tools의 분석에 따르면 Threads는 iOS에서 Swift, Android에서 Kotlin/Jetpack Compose로 구성되었습니다.
The apps are largely native, using a mix of Swift on iOS (and a little Objective C), and Jetpack Compose on Android (with Kotlin and Java as languages). There are some shared server-rendered screens for some simple experiences, but native is the norm.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페이스북을 직접 디컴파일링 했을 때 ReactNative이 거의 없고 네이티브로 구성되어있다고도 합니다. 이는 Facebook 입장과는 상반된 이야기기는 합니다. Meta 개발팀은 ReactNative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들 하니까요.
실은 Meta에서 React Native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인스타그램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어요 !
인스타그램 엔지니어링 블로그에서는 ReactNative로 개발 속도를 상당부분 향상시켰다고 전했습니다.
Instagram은 2016년 초부터 React Native를 도입해, iOS와 Android 양쪽에 동일한 코드를 재사용하며 기능을 빠르게 출시할 수 있는지를 실험했습니다.
당시 Instagram 엔지니어링 팀은 "기존 네이티브 앱에 React Native를 통합하는 것은 새로운 앱을 만드는 것보다 훨씬 까다롭다"고 인정하면서도, 가장 단순한 화면인 **푸시 알림 설정(Push Notification Settings)**부터 포팅을 시작했습니다.
이 화면은 원래 WebView로 구현되어 있었기 때문에, React Native를 적용했을 때 성능 향상을 측정하기 좋은 실험 대상이었습니다.
그 결과, Instagram 팀은 React Native의 여러 장점을 직접 검증했습니다:
- 
**핫 리로딩(Hot Reloading)**과 **라이브 리로딩(Live Reload)**을 통해 컴파일-설치 과정을 생략하고,
기능을 수정하자마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어요. - 
공통 코드 재사용률이 매우 높아 iOS/Android 기능을 동시에 빠르게 출시할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Post Promote: 99%
 - SMS Captcha Checkpoint: 97%
 - Comment Moderation: 85%
 - Lead Gen Ads: 87%
 - Push Notification Settings: 92% 등으로, 대부분의 기능에서 80% 이상의 코드가 공유되었습니다.
 
 - 
React Native로 전환한 기능들은 기존 WebView 대비 **시작 속도(start-up time)**가 더 빠르고, UX 품질도 향상되었습니다.
 
Instagram은 이후에도 Edit Profile, Photos Of, Post Promote, Save, Comment Moderation, Lead Gen Ads 등 다양한 기능을 React Native로 포팅하며, 각 기능마다 네이티브와 거의 구분되지 않는 사용자 경험을 유지하면서도 개발 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고 전합니다.
페이스북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어요 !
React Native는 단지 예전 실험적인 기술이 아니라, Meta 내부에서도 꾸준히 주요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는 핵심 기술 스택입니다.
Meta의 공식 블로그 Meet the Developers – React @ Meta Edition 에 따르면,
Facebook Marketplace 팀의 프런트엔드 엔지니어 Blair Vanderhoof는 지난 7년간 Marketplace의 여러 기능을 React Native로 구축하고 개선해왔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저는 Facebook Marketplace에서 판매자 허브 화면, 제품 상세 페이지 전환 애니메이션, 피드 항목 UI, 그리고 상대방 프로필 화면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React Native로 개발했습니다.”
“저는 JavaScript를 사용해 UI를 완전히 제어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네이티브 코드를 거의 작성하지 않고 대부분을 React로 빌드합니다.”
— Blair Vanderhoof, Frontend Engineer at Meta
즉, Facebook Marketplace 앱은 React Native 기반의 화면과 기능들이 광범위하게 적용된 대표적인 Meta 제품이에요.
Marketplace 팀은 Meta 내부의 React Native 인프라 팀과 긴밀히 협력하며 새로운 사용 사례를 실험하고, UI 애니메이션과 제스처, 전환 효과 등 복잡한 인터랙션을 React Native + PanResponder API로 구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Blair는 “React Native는 Facebook Marketplace가 빠르게 성장하고,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풍부한 인터랙티브 UI를 빠르게 빌드하고 디자인할 수 있게 해줬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Meta 내부에서는 이미 수년 전부터 React Native를 Marketplace를 비롯한 다양한 모바일 기능의 표준 기술 스택 중 하나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React Hooks, Context API, Relay 등 최신 React 생태계의 기능들을 모바일 환경에도 그대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결국 Meta가 React Native를 “버렸다”는 루머와 달리, Facebook Marketplace를 비롯한 실제 프로덕션 레벨 서비스에서 React Native는 여전히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Meta의 엔지니어들은 지금도 이 기술을 개선하고 발전시키는 데 직접 기여한다고 전해집니다.
물론, 여론과 공식 입장 간의 차이는 충분히 이해합니다. React Native는 Meta 기술이다 보니까 공식 입장에서 당연히 자사 기술이 좋다고 어필할 수 있죠. 😉
그러니까 결국 Meta는 React Native를 버린게 아닙니다.
즉, Meta가 React Native를 완전히 버린 것이 아니라, 제품의 성격에 따라 적절한 기술을 선택한 것이에요. 모든 엔지니어가 “네이티브 언어로 구성된 앱이 제일 낫다”는 데에는 공감할 거예요. 다만 React Native는 크로스 플랫폼을 가능하게 설계된 프레임워크로, 한 번의 코드 작성으로 iOS와 Android 앱을 동시에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큰 장점을 가집니다.
특히 기존에 React를 사용하던 웹 개발자들이 모바일 앱으로 쉽게 확장할 수 있다는 점, 즉 기존 생태계와 학습 비용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은 무시할 수 없는 메리트입니다. 적은 인원과 예산으로도 빠르게 MVP를 만들거나, 운영 중인 서비스를 모바일로 확장할 때 React Native는 "비용이 효율적인 대안"으로 훌륭합니다.
실제로 React Native는 꾸준히 업데이트를 하고 있으며, 매년 열리는 리액트 컨퍼런스에서도 꾸준히 등장하고 소개하고 있어요.
React Native Connection 2025
April 3 (Reanimated Training) + April 4 (Conference), 2025. Paris, France.
React Native London Conf 2024
November 14 & 15, 2024. In-person in London, UK
React Native EU 2023
September 7 & 8, 2023. Wrocław, Poland
React Native EU 2022: Powered by callstack
September 1-2, 2022 - Remote event
Website - Twitter - Linkedin - Facebook - Instagram
자 그런데, React Native만이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지 않죠. 대표적으로 Flutter와 비교를 많이 합니다.
React Native vs Flutter
React Native와 Flutter는 React Native의 안좋은 인식 전 까지는 꾸준히 대립되어 왔습니다. 다만 요즘 대세는 Flutter가 더욱 부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 구분 | React Native | Flutter | 
|---|---|---|
| 출시 주체 / 연도 | Meta(페이스북) / 2013년 | Google / 2017년 | 
| 언어(Language) | JavaScript + JSX | Dart | 
| 렌더링 방식 (Architecture) | JavaScript Bridge를 통해 네이티브 컴포넌트 호출 (Flux 아키텍처 기반) | Skia 2D 렌더링 엔진으로 자체 UI 렌더링 | 
| UI 구성 방식 | 네이티브 플랫폼의 UI 요소를 호출 (Native View와 연결) | Flutter 위젯 시스템으로 완전 일관된 UI 구현 | 
| 핫 리로딩(Hot Reload) | 지원 (Live Reload 포함) | 지원 (더 빠르고 안정적) | 
| 3D 그래픽 지원 | 상대적으로 강함 (네이티브 API 접근 용이) | 제한적 (2D 중심 위젯 렌더링) | 
| 성능 (Performance) | JS Bridge로 인한 약간의 오버헤드 존재 | 네이티브 수준의 퍼포먼스 (ARM 코드로 직접 컴파일) | 
| 생태계 및 커뮤니티 | 매우 크고 성숙함 — 수많은 서드파티 라이브러리 보유 | 빠르게 성장 중이지만 상대적으로 작음 | 
| 문서화 / 공식 자료 | 공식 문서는 간결하지만 서드파티 의존도 높음 | Google 주도 공식 문서가 잘 구성됨 | 
| 설치 과정 | Node.js + npm을 통해 손쉽게 설치 가능 | SDK 다운로드 및 환경변수 설정 필요 (조금 복잡함) | 
| 테스트 도구 | Detox 등 외부 도구 필요 | 통합 테스트 기능 내장 (Unit, Widget, Integration Test) | 
| 학습 난이도 | JavaScript 기반이라 진입장벽 낮음 | Dart 언어 학습 필요 (추가 러닝 커브) | 
| 유명 사용자 / 기업 | Meta(Facebook, Instagram), Uber, Walmart 등 | Google, Alibaba, BMW, eBay 등 | 
| 커리어 / 연봉 (미국 평균) | 약 $93,000 / 년 | 약 $89,000 / 년 | 
| 강점 요약 | ✅ JavaScript 기반으로 진입 쉬움 ✅ 네이티브 UI 활용 가능 ✅ 거대한 커뮤니티  | 
✅ 완전한 일관된 디자인(UI 통일성) ✅ 고성능 렌더링 ✅ 테스트 환경 내장  | 
| 약점 요약 | ❌ Bridge로 인한 성능 오버헤드 ❌ 의존성 관리 복잡 ❌ 문서화 일관성 부족  | 
❌ Dart 언어 진입장벽 ❌ 앱 용량 큼 ❌ 일부 네이티브 기능 제약  | 
React Native vs Flutter in 2025 - Make the RIGHT Choice (Difference Explained)를 참고하였습니다. 😉
React Native vs Flutter 어떤 프레임워크를 선택해야 할까?
React Native와 Flutter는 서로 다른 철학에서 출발했지만, 결국 같은 목표를 향하고 있습니다. 바로 “한 번의 코드로 두 플랫폼(Android와 iOS)을 동시에 커버하는 것”이죠. 두 프레임워크 모두 뛰어난 생산성을 자랑하지만, 팀의 기술 스택과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적합한 선택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React Native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 이미 JavaScript나 React 생태계에 익숙한 팀이라면, React Native가 훨씬 빠른 적응력을 제공합니다.
 - 기존 웹 코드를 재사용하거나, React 기반의 UI 패턴을 모바일로 확장하고자 할 때 특히 강점을 보입니다.
 - 대규모 커뮤니티와 오픈소스 생태계 덕분에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솔루션을 빠르게 찾을 수 있어요.
 - Meta, Instagram, Uber, Walmart 등 실제 대기업에서도 검증된 사례가 있어요
 
아 그리고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Toss도 React Native를 사용하고 있어요 😉
✅ Flutter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 디자인 일관성이 중요하거나, UI가 복잡한 앱을 구현할 때 Flutter의 위젯 시스템이 더 유리합니다.
 - Dart 언어의 러닝 커브는 있지만, 한 번 익히면 안드로이드·iOS·웹·데스크톱까지 확장 가능한 범용성이 장점이에요.
 - Skia 렌더링 엔진 덕분에 GPU 가속 기반의 고성능 UI를 구현할 수 있으며, 빠른 실행 속도와 부드러운 애니메이션이 필요한 앱(예: 디자인 툴, 시각화 서비스 등)에 적합합니다.
 
2025년, "정답"은 없지만 "전략"은 있다
결국 React Native와 Flutter는 승패의 문제가 아닙니다. React Native는 이미 성숙한 생태계와 대규모 프로젝트 경험을 기반으로 안정성을 확보했고, Flutter는 성능과 UI 일관성 측면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새로운 시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React Native는 여전히 “현업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크로스플랫폼 프레임워크”이며, Flutter는 “디자인 중심 앱의 퍼포먼스 리더”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규모, 팀의 언어 역량, 배포 환경, 그리고 유지보수 전략을 고려해 “React Native로 현실적인 속도와 생산성”을 택할 것인지, “Flutter로 미래 지향적 일관성과 성능”을 택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이네요.
그래서 이 글의 목적은?
React Native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과 더불어 이제 막 앱 개발을 배우는 데 무조건 Flutter를 권장하는 것 같아서 다각적으로 접근하면 어떨까 싶어서 작성해봤어요. 기술 선택의 몫은 여러분이지만, React Native를 시작하는 데에 비관적인 여론 때문에 주저한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일단 전 Flutter 배우러 가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