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S vs EKS: AWS 컨테이너 서비스 선택 가이드

ECS vs EKS: AWS 컨테이너 서비스 선택 가이드

D
dongAuthor
6 min read

클라우드 환경에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관리하는 것은 현대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입니다. AWS에서 제공하는 두 가지 주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인 ECS와 EKS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신가요?

각 서비스는 고유한 장점과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프로젝트의 규모, 팀의 전문성, 장기적인 목표에 따라 최적의 선택이 달라집니다. 이 글에서는 두 서비스의 핵심 차이점을 명확히 분석하고, 실무에서 어떤 상황에서 어떤 서비스를 선택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컨테이너화와 오케스트레이션의 기본 개념

컨테이너화는 애플리케이션과 그 의존성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어 어떤 환경에서든 일관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 기술을 통해 개발자들은 "내 컴퓨터에서는 되는데"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죠.

하지만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수십, 수백 개의 컨테이너를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입니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은 컨테이너의 배포, 스케일링, 네트워킹, 가용성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컨테이너의 자동 배포 및 교체
  • 로드 밸런싱과 서비스 디스커버리
  • 스토리지 오케스트레이션
  • 자동화된 롤아웃과 롤백

ECS (Elastic Container Service) 심화 이해

AWS ECS는 AWS에서 개발한 완전 관리형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입니다. Docker를 지원하며, AWS 생태계와의 긴밀한 통합이 가장 큰 특징이에요.

ECS의 핵심 구성 요소

태스크(Task)는 ECS에서 컨테이너가 동작하는 최소 실행 단위입니다.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로 구성되며, 실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컴포넌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태스크 정의(Task Definition)는 태스크를 생성하는 JSON 형식의 템플릿입니다. 배포할 컨테이너 이미지, 할당할 CPU와 메모리, IAM 역할, CloudWatch Logs 설정 등을 정의합니다:

{
  "family": "my-app",
  "taskRoleArn": "arn:aws:iam::123456789012:role/ECSTaskRole",
  "networkMode": "awsvpc",
  "containerDefinitions": [
    {
      "name": "web-server",
      "image": "nginx:latest",
      "memory": 512,
      "cpu": 256,
      "essential": true,
      "portMappings": [
        {
          "containerPort": 80,
          "protocol": "tcp"
        }
      ]
    }
  ]
}

**서비스(Service)**는 지정된 수만큼의 태스크를 유지하는 스케줄러 역할을 합니다. 태스크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새로운 태스크를 생성해 원하는 상태를 유지하죠.

**클러스터(Cluster)**는 서비스와 태스크를 실행하는 논리적 그룹입니다. EC2 인스턴스나 Fargate를 통해 실제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받습니다.

ECS의 주요 장점

ECS는 AWS 콘솔에서 복잡한 YAML 구성 없이 간단한 설정만으로 컨테이너를 배포할 수 있습니다. CodePipeline, CloudWatch 같은 AWS 서비스와의 통합이 매우 원활하며, 운영 자동화와 모니터링이 쉬워집니다.

특히 Fargate를 지원하므로 인프라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도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 있어 운영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클러스터 관리 비용이 없고 전반적인 관리 효율성이 높다는 점도 큰 매력이에요.

EKS (Elastic Kubernetes Service) 심화 이해

AWS EKS는 AWS에서 제공하는 완전 관리형 쿠버네티스 서비스입니다. 오픈소스 쿠버네티스를 기반으로 하여 쿠버네티스 생태계의 모든 도구와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EKS의 핵심 구성 요소

쿠버네티스 제어 플레인(Control Plane)은 클러스터의 전반적인 관리를 담당하는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API 서버, etcd, 스케줄러, 컨트롤러 매니저 등이 포함되며, EKS에서는 AWS가 이를 완전히 관리합니다.

워커 노드(Worker Nodes)는 실제 워크로드가 실행되는 곳입니다. EC2 인스턴스로 구성하거나 Fargate를 선택할 수 있어요: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my-app
spec:
  containers:
  - name: app-container
    image: my-app:latest
    resources:
      requests:
        memory: "64Mi"
        cpu: "250m"
      limits:
        memory: "128Mi"
        cpu: "500m"
    ports:
    - containerPort: 8080

EKS의 주요 장점

EKS의 가장 큰 장점은 쿠버네티스 생태계의 완전한 활용입니다. Helm, Istio, Prometheus 같은 다양한 도구들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요. AWS가 관리하는 고가용성 제어 플레인으로 운영 편의성과 서비스 안정성이 뛰어납니다.

또한 EC2 기반 노드 운영이나 Fargate를 통한 서버리스 방식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복잡한 마이크로서비스 구조나 대규모 인프라 환경에 적합한 확장성과 세밀한 제어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ECS와 EKS의 핵심 차이점

제어 플레인 관리 방식

ECS는 AWS에서 자체 개발한 오케스트레이션 엔진을 사용하므로 설정이 상대적으로 간단합니다. 반면 EKS는 쿠버네티스의 제어 플레인을 AWS가 관리하지만, 쿠버네티스 자체의 복잡성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오케스트레이션 방식

ECS는 AWS 고유의 오케스트레이션 방식을 사용하며, AWS 서비스와의 통합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EKS는 쿠버네티스 표준을 따르므로 다른 쿠버네티스 환경과 호환성이 뛰어나죠.

생태계와 도구 지원

EKS는 방대한 쿠버네티스 생태계를 활용할 수 있지만, ECS는 AWS 중심적인 도구와 서비스에 의존합니다. 이는 선택의 폭에서는 EKS가 유리하지만, AWS 내에서의 통합성에서는 ECS가 더 우수합니다.

ECS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신속성과 단순함이 우선인 프로젝트

스타트업이나 간단한 구조의 서비스라면 ECS가 적합합니다. 몇 시간 만에 컨테이너 기반 서비스를 배포할 수 있을 정도로 빠르고 간단해요.

태스크 정의를 생성한 후 바로 실행하기만 하면 되는 단순함이 큰 장점입니다:

# ECS에서 서비스 생성 예시
aws ecs create-service \
    --cluster my-cluster \
    --service-name my-service \
    --task-definition my-app:1 \
    --desired-count 2

AWS 생태계 중심의 개발 환경

이미 AWS 서비스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면 ECS의 통합 이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CodePipeline을 통한 CI/CD, CloudWatch를 통한 모니터링, IAM을 통한 권한 관리가 매끄럽게 연동됩니다.

비용 효율성이 중요한 소규모 배포

클러스터 관리 비용이 없어 소규모 배포에서 비용 효율적입니다. Fargate를 선택하면 운영비용까지 줄일 수 있어 기능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어요.

EKS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

기존 쿠버네티스 자산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온프레미스에서 쿠버네티스를 사용하고 있거나 EC2에서 자체 관리하던 쿠버네티스를 EKS로 이전하려는 경우에 최적입니다. 기존의 쿠버네티스 매니페스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마이그레이션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어요.

만약 쿠버네티스를 ECS로 변경하려면 모든 구성을 AWS 서비스에 맞게 다시 작성해야 하므로 비용이 매우 클 수 밖에 없습니다.

쿠버네티스 생태계 활용이 필요한 경우

복잡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나 다양한 오픈소스 도구의 활용이 필요하다면 EKS가 적합합니다:

# Helm을 사용한 복잡한 배포 예시
apiVersion: argoproj.io/v1alpha1
kind: Application
metadata:
  name: my-app
  namespace: argocd
spec:
  project: default
  source:
    repoURL: https://github.com/my-org/my-app
    targetRevision: HEAD
    path: helm-chart

하이브리드 및 멀티클라우드 환경

쿠버네티스의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덕분에 다른 클라우드 환경이나 온프레미스와의 호환성이 뛰어납니다. 글로벌 확장이나 벤더 락인을 피하려는 전략이 있다면 EKS를 고려해보세요.

실무 적용 시 고려사항

팀의 기술적 역량

쿠버네티스 경험이 풍부한 팀이라면 EKS의 강력한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빠른 배포와 운영 편의성이 더 중요하다면 ECS가 현실적인 선택일 수 있어요.

운영 복잡도 관리

EKS는 노드 구성과 유지보수가 필요해 운영 복잡도가 높습니다. ECS는 클러스터 관리가 불필요하고, Fargate 사용 시 인프라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비용 구조의 차이

EKS는 기본 클러스터 비용이 발생하므로 소규모 환경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ECS는 클러스터 비용이 없어 소규모 환경에서 비용 효율적이죠.

적절한 선택을 위한 결론

ECS와 EKS는 각각 뚜렷한 장단점을 가진 우수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입니다.

ECS는 빠르고 간단한 배포, AWS 생태계와의 완벽한 통합, 운영 복잡도 최소화를 원하는 팀에게 이상적입니다. 특히 스타트업이나 빠른 프로토타이핑이 필요한 프로젝트에서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EKS는 쿠버네티스 생태계 활용, 복잡한 오케스트레이션 요구사항, 멀티클라우드 전략이 중요한 조직에 적합합니다. 기존 쿠버네티스 자산이 있거나 대규모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면 EKS가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어요.

중요한 것은 현재 팀의 역량, 프로젝트의 요구사항, 장기적인 기술 전략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입니다. 두 서비스 모두 뛰어난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하므로, 올바른 선택을 한다면 성공적인 컨테이너 운영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