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이제 jQuery를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
2006년 존 레식이 "write less, do more"라는 모토와 함께 jQuery를 세상에 선보였을 때, 웹 개발은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습니다. 한때 가장 인기 있는 웹사이트의 65%가 사용할 정도로 jQuery는 웹 개발의 필수 라이브러리로 자리 잡았죠. 복잡한 DOM 조작과 이벤트 처리, 애니메이션, Ajax 요청까지 간결한 코드로 해결해주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웹 개발 환경도 크게 변했습니다. 최신 자바스크립트 표준과 React, Vue 같은 강력한 프레임워크가 등장하면서 jQuery의 입지는 예전 같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jQuery가 과거에 어떤 문제를 해결했고, 왜 오늘날 새로운 프로젝트에는 더 이상 최선의 선택이 아닌지 그 이유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모던 자바스크립트의 부상
jQuery가 큰 인기를 끌었던 가장 큰 이유는 ‘크로스 브라우징’ 문제 해결이었습니다. 2007년만 해도 인터넷 익스플로러(IE)가 6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브라우저마다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다르게 동작하는 일이 비일비재했습니다. jQuery는 이러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여 개발자가 어떤 브라우저에서든 동일하게 작동하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하지만 2008년 크롬이 등장하면서 상황은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크롬은 빠른 렌더링 속도와 웹 표준 준수를 무기로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높였습니다. 다른 브라우저들도 웹 표준을 적극적으로 따르기 시작하면서, 브라우저 간 호환성 문제는 점차 줄어들었습니다.
ECMAScript 표준이 발전하면서 순수 자바스크립트(Vanilla JS)만으로도 과거 jQuery가 제공하던 기능 대부분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이제는 querySelector, querySelectorAll, classList 같은 네이티브 DOM API를 사용해 jQuery 없이도 간편하게 DOM 요소를 선택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Ajax 요청 역시 fetch API라는 표준 기능으로 대체되었습니다.
jQuery를 대체하는 기술들
오늘날 웹 개발에서는 jQuery 대신 더 효율적이고 현대적인 대안들이 널리 사용됩니다.
모던 자바스크립트 (Vanilla JS)
앞서 언급했듯이, 이제 순수 자바스크립트만으로도 충분히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jQuery의 여러 메서드들은 이제 네이티브 API로 거의 다 구현 가능합니다.
- DOM 선택:
$('.class')대신document.querySelector('.class') - Ajax 요청:
$.ajax()대신fetch()API - 클래스 조작:
$(element).addClass('foo')대신element.classList.add('foo')
또한, Babel이나 Webpack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최신 자바스크립트 문법으로 작성된 코드를 구형 브라우저에서도 문제없이 동작하도록 변환할 수 있어, 굳이 jQuery에 의존할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React, Vue.js와 같은 프레임워크
최신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중심에는 React, Vue, Angular와 같은 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 이들은 단순히 DOM을 조작하는 것을 넘어, 선언적이고 모듈화된 프로그래밍 방식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더 효율적이고 유지보수가 쉬운 코드를 작성하도록 돕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가상돔(Virtual DOM)'의 사용입니다. jQuery는 실제 DOM을 직접 조작하는 반면, React와 같은 프레임워크는 변경 사항이 발생하면 메모리상에 존재하는 가벼운 가상돔을 먼저 업데이트합니다. 그 후 이전 가상돔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만 실제 DOM에 한 번에 적용합니다. 이 방식은 불필요한 DOM 접근과 렌더링을 최소화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성능 비교: jQuery vs 모던 자바스크립트
성능 측면에서 jQuery는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파일 크기: 간단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jQuery 라이브러리 전체를 로드해야 하므로, 순수 자바스크립트에 비해 초기 로딩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jQuery는 원래 최적화를 염두에 두고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코드 용량이 상대적으로 큽니다.
- DOM 조작 속도: jQuery는 실제 DOM을 직접 조작합니다. 잦은 동적 DOM 변경이 일어날 경우, 브라우저는 변경이 일어날 때마다 레이아웃을 다시 계산하고 화면을 새로 그리는 과정(리플로우 및 리페인트)을 반복하게 되어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반면, 가상돔을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는 이러한 과정을 최소화하여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 콜 스택: jQuery는 네이티브 코드를 과도하게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어, DOM 조작 시 호출 스택이 깊어져 실행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물론, jQuery도 지속적인 최적화를 통해 성능이 많이 개선되었습니다. 하지만 복잡하고 동적인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가상돔 기반의 프레임워크가 일반적으로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합니다.
새로운 시작을 위한 제언
jQuery는 웹 개발 역사에 큰 획을 그은 훌륭한 라이브러리입니다. 복잡했던 웹 개발 환경을 단순화하고, 수많은 개발자가 더 쉽고 즐겁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하지만 이제 웹 개발의 패러다임은 변화했습니다. 웹 표준이 성숙해졌고, 성능과 유지보수성을 극대화하는 강력한 프레임워크들이 등장했습니다. 대규모의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새로 개발한다면, 모듈화와 컴포넌트 기반 개발이 어려운 jQuery는 더 이상 이상적인 선택이 아닙니다.
만약 여러분이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한다면, jQuery보다는 최신 자바스크립트 표준과 React나 Vue 같은 현대적인 프레임워크를 우선적으로 고려해 보세요. 이는 더 나은 성능, 쉬운 유지보수, 그리고 장기적인 확장성을 확보하는 길이 될 것입니다. 과거의 영광에 머무르기보다, 현재와 미래의 웹 개발 트렌드에 발맞추어 나아가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