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 터미널 명령어 완벽 가이드
맥 터미널 기본 명령어부터 고급 기능까지! pwd, ls, cd 등 필수 커맨드와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는 팁들을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개발을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터미널입니다. 검은 화면에 하얀 글자만 깜빡이는 모습을 보면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터미널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으며, 오히려 개발 작업을 훨씬 효율적으로 만들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터미널(Terminal)은 컴퓨터와 사용자 간 소통을 위한 인터페이스예요. 마우스 대신 키보드만으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코딩을 하지 않더라도 유용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맥의 터미널은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리눅스나 다른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와 매우 유사해요.
CLI(Command Line Interface)와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차이점을 이해하면 터미널의 장점을 더 잘 알 수 있습니다. GUI는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마우스 클릭 방식이고, CLI는 터미널에서 텍스트 명령어로 컴퓨터를 조작하는 방식이에요. CLI는 처음엔 어색하지만, 익숙해지면 훨씬 빠르고 정확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기본 명령어 마스터하기
터미널을 처음 시작할 때 꼭 알아야 하는 기본 명령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명령어들만 익혀도 파일 관리와 기본적인 작업은 충분히 할 수 있어요.
현재 위치 파악하기
pwd (Print Working Directory)
pwd
현재 어느 경로에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터미널을 열면 보통 홈 디렉토리(/Users/사용자명)에서 시작하는데, pwd로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요.
파일과 폴더 목록 보기
ls (List)
ls # 기본 목록 보기
ls -a # 숨김 파일까지 모두 보기
ls -l # 자세한 정보와 함께 보기
ls -al # 숨김 파일과 자세한 정보 모두 보기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과 폴더들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옵션을 추가하면 더 많은 정보를 볼 수 있어요.
디렉토리 이동하기
cd (Change Directory)
cd Desktop # Desktop 폴더로 이동
cd .. # 상위 폴더로 이동
cd ~ # 홈 디렉토리로 이동
cd - # 이전 디렉토리로 돌아가기
폴더 간 이동은 개발 작업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예요.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해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폴더와 파일 생성하기
mkdir (Make Directory)
mkdir my_project # 폴더 생성
mkdir -p project/src # 중첩 폴더 한 번에 생성
touch
touch index.html # 파일 생성
touch style.css app.js # 여러 파일 동시 생성
새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폴더 구조를 만들고 파일들을 생성하는 작업에 자주 사용됩니다.
파일 편집과 내용 확인
vi (Vim Editor)
vi filename.txt
터미널에서 직접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에디터입니다. 간단한 vim 사용법을 알아두면 도움이 돼요:
i: 편집 모드 진입Esc: 명령 모드로 전환:wq: 저장 후 종료:q!: 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
cat (Concatenate)
cat README.md # 파일 내용 확인
cat file1.txt file2.txt # 여러 파일 내용 한 번에 보기
파일 삭제하기
rm (Remove)
rm filename.txt # 파일 삭제
rm -r foldername # 폴더와 내부 파일 모두 삭제
rm -i filename.txt # 삭제 전 확인 요청
⚠️ 주의사항: rm -rf 명령어는 매우 강력해서 모든 파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사용할 때 반드시 경로를 확인하세요!
유용한 보조 명령어들
clear
clear
터미널 화면을 깔끔하게 정리해줍니다. 화면이 복잡해졌을 때 사용하면 좋아요.
history
history
이전에 사용한 명령어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같은 명령어를 다시 입력할 때 유용해요.
man (Manual)
man ls # ls 명령어 설명서 보기
man mkdir # mkdir 명령어 설명서 보기
명령어의 자세한 사용법을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q를 눌러 나갈 수 있어요.
which
which node # node.js 설치 경로 확인
which python # python 설치 경로 확인
특정 프로그램이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지 찾을 때 사용합니다.
고급 명령어로 레벨업하기
기본 명령어에 익숙해졌다면, 맥에서 더 강력한 기능들을 활용해볼 수 있어요. 이런 명령어들은 개발 환경을 최적화하거나 시스템 설정을 변경할 때 유용합니다.
숨김 파일 표시 활성화
defaults write com.apple.finder AppleShowAllFiles -bool TRUE && killall finder
맥은 기본적으로 시스템 파일이나 설정 파일들을 숨겨놓습니다. 개발을 하다 보면 .gitignore, .env 같은 숨김 파일들을 자주 다뤄야 하는데, 이 명령어로 파인더에서도 숨김 파일들을 볼 수 있어요.
폴더 내용 복사하기
ditto -V ~/source/folder/ ~/new/folder/
프로젝트 템플릿을 복사하거나 백업을 만들 때 유용한 명령어입니다. 폴더 구조와 내용을 모두 복사해줘요.
스크린샷 설정 변경
defaults write com.apple.screencapture type jpg && killall SystemUIServer
맥의 기본 스크린샷 형식은 PNG인데, 이 명령어로 JPG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파일 크기를 줄이고 싶을 때 유용해요.
절전 모드 비활성화
caffeinate
긴 시간 동안 작업할 때나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맥이 잠들지 않도록 해주는 명령어입니다. 개발 서버를 돌려놓고 다른 작업을 할 때도 유용해요.
자동 재시작 설정
sudo systemsetup -setrestartfreeze on
시스템이 완전히 멈췄을 때 자동으로 재시작하도록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개발용 맥에서 안정성을 높이고 싶을 때 설정해두면 좋아요.
터미널 마스터가 되는 팁들
터미널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실용적인 팁들을 공유해드릴게요.
자동완성 활용하기
Tab 키를 누르면 명령어나 파일명이 자동완성됩니다. 긴 파일명을 입력할 때 정말 유용해요.
이전 명령어 재사용하기
위쪽 화살표 키를 누르면 이전에 사용한 명령어들을 다시 불러올 수 있습니다. 같은 작업을 반복할 때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요.
여러 명령어 한 번에 실행하기
mkdir new_project && cd new_project && touch index.html
&&를 사용하면 여러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별칭(Alias) 설정하기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에 별칭을 만들어두면 편리해요:
alias ll='ls -al'
alias proj='cd ~/Documents/projects'
안전하게 터미널 사용하기
터미널은 강력한 도구인만큼 주의해야 할 점들이 있어요:
- 삭제 명령어 사용 시 주의:
rm -rf같은 강력한 삭제 명령어는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 sudo 명령어 신중하게 사용: 시스템 권한이 필요한 작업은 반드시 내용을 확인하고 실행하세요
- 경로 확인 습관화: 명령어 실행 전에
pwd로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습관을 만드세요 - 백업의 중요성: 중요한 파일은 미리 백업해두세요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터미널 기본기를 익혔다면, 이제 더 큰 세상으로 나아갈 차례입니다. Git 명령어를 배워서 버전 관리를 해보거나, 패키지 매니저인 Homebrew를 설치해서 개발 도구들을 관리해보세요. Node.js나 Python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설치하고 프로젝트를 만들어보는 것도 좋은 다음 단계가 될 것입니다.
터미널은 처음엔 어색하지만, 꾸준히 사용하다 보면 없어서는 안 될 도구가 됩니다. 개발자로 성장하는 여정에서 터미널 실력은 분명히 큰 도움이 될 거예요. 하나씩 차근차근 익혀나가시길 바라며, 언제든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man 명령어를 활용해서 도움말을 확인해보세요!